시보이건 뮤니시펄 오디토리움 앤 아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보이건 뮤니시펄 오디토리움 앤 아머리는 1941년 노동 진흥국 사업으로 건설된 건물로, 위스콘신 주 방위군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다. 이 건물은 1942년부터 1951년까지 NBA의 시보이건 레스킨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농구 경기, 서커스, 지역 행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2005년에는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 우주 & 과학 센터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2020년에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폐지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2020년 폐지 - 다음 팁
다음 팁은 사용자의 참여와 지식 공유를 위해 토픽, 배지, 엑스퍼트 제도 등 다양한 제도와 서비스를 제공한 Q&A 서비스였다. - 1942년 설립 -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은 1937년 중국 우한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항일 무장단체로 창설되어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 일부는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어 한국 전쟁에 참여했다. - 1942년 설립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미국의 없어진 건축물 - 그리피스 스타디움
191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 존재했던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워싱턴 세네터스의 구단주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 미식축구 경기, 권투 시합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렸으나 1965년에 철거되어 현재는 하워드 대학교 병원이 들어서 있다. - 미국의 없어진 건축물 - 미니애폴리스 오디토리움
시보이건 뮤니시펄 오디토리움 앤 아머리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명칭 | 시보이건 뮤니시펄 오디토리움 앤 아머리 |
원래 명칭 | Sheboygan Municipal Auditorium and Armory |
이전 명칭 | 시보이건 내셔널 가드 아머리 앤 오디토리움 |
다른 명칭 | 시보이건 아머리 |
위치 | 미국 위스콘신주 시보이건 브로턴 드라이브 516, 53081 |
용도 | 오디토리움 및 아머리 |
상태 | 철거됨 |
건축 양식 | 스트림라인 모던 |
착공 | 1941년 1월 |
완공 | 1942년 5월 22일 |
개장 | 1942년 7월 4일 |
철거 | 2020년 7월~11월 |
건축 비용 | $204,000 |
웹사이트 | www.sheboyganarmory.org |
건축 세부 정보 | |
층수 | 3 |
건축가 | 에드가 A. 스투벤라우흐 |
주요 시공사 |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공공사업진흥국) |
수용 인원 | |
농구 | 3,160명 |
레슬링 | 3,690명 |
콘서트 | 3,680명 |
사용 역사 | |
사용 팀 | 시보이건 레드스킨스 (NBA) (1942년~1951년) |
2. 역사
시보이건 아머리는 1941년 뉴딜 정책 시기 노동 진흥국(WPA) 사업으로 건설된 다목적 건물이다.[1][2][3] 초기에는 위스콘신 주 방위군 시설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전미 농구 협회(NBA) 시보이건 레스킨스 팀의 홈구장, 지역 고등학교 농구 경기장, 서커스 및 헌혈과 같은 지역 행사, 몽족 아메리카 공동체의 몽족 설날 축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3]
1980년대 후반부터 건물의 재개발 및 용도 변경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강변 호텔과 연계한 회의장 전환 계획[5], 우주 과학 센터인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 건립 계획[6] 등이 추진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운영 비용 문제로 2006년 폐쇄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으며,[7] 이후 여러 차례 보존과 철거를 둘러싼 논의가 이어졌다.
결국 건물 보존 노력은 결실을 보지 못하고, 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철거 작업이 진행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1]
2. 1. 건립 배경 및 초기 역사
시보이건 아머리는 시보이건의 건축가 에드가 스투벤라우흐[1]가 설계하여 1941년 노동 진흥국(WPA)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2][3] WPA는 1935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행정 명령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대공황 시기 실업 구제를 위한 공공사업을 추진했다. 시보이건 아머리를 비롯하여 시보이건 카운티 법원, 시의 주요 우체국, 판스워스 중학교 및 고등학교, 그리고 현재 어반 중학교 건물인 옛 시보이건 노스 고등학교 등은 WPA가 미국 전역에 건설한 116,000개의 건물 중 일부이다.아머리는 펜실베이니아 애비뉴와 노스 4번가 남쪽에 위치했던 프라이버그 노벨티 가구 회사 소유의 프라이버그 목재 회사의 이전 목재 야적장 자리에 세워졌다.[4] 원래 건물 부지는 한때 미시간 호와 시보이건 강이 만나는 입구에 위치해 있었다. 제안된 설계에 따라 건물 구조는 강철 활줄 트러스 형태의 지붕을 제외하고는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졌으며, 외부 벽 또한 콘크리트로 마감되었다.
건립 초기 아머리의 주된 목적은 위스콘신 주 방위군 제32사단을 수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건물 내에는 경비대가 사용하는 총기 및 기타 군사 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탄약 보관함과 금고가 설치되었다. 군사적 목적 외에도 아머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1942년부터 1951년까지는 전미 농구 협회(NBA) 소속 프로 농구팀 시보이건 레스킨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고등학교 농구 경기, 서커스 공연, 헌혈 행사 등 지역 사회의 여러 행사를 개최하는 장소였으며, 1980년대 중반 시보이건에 몽족 아메리카 공동체가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몽족 설날 축제가 열리는 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
2. 2. 스포츠 및 지역 행사 장소로의 활용
시보이건 아머리는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지역 행사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42년부터 1951년까지 NBA 소속 시보이건 레드스킨스 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3] 또한, 개장 이후 2006년까지 센트럴/사우스 고등학교와 노스 고등학교 간의 지역 농구 라이벌 경기가 열리는 전통적인 장소였다. 2006년 두 학교 모두 약 3,000석 규모의 자체 체육관을 개관하면서 아머리에서의 라이벌전은 막을 내렸다.이 외에도 여러 세대에 걸쳐 시보이건 시민들에게 추억을 선사한 다채로운 행사들이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레이크랜드 대학교 농구 경기, 보이 스카우트의 스카우트-오-라마, 학교 로켓 행사, 나무 축제, 시장 국제 축제, 채용 박람회, 군사 모임, 헌혈 행사 등이 열렸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는 도시 내 흐몽 커뮤니티가 성장하면서 몽족 설날 축제가 열리기도 했다.[3]
뿐만 아니라 올스타 레슬링, 골든 글러브 권투 경기, 할렘 글로브트로터스 농구 묘기 공연과 같은 스포츠 이벤트와 행크 윌리엄스 주니어, 닥터 후크 앤 더 메디신 쇼, 조니 카슨 등이 출연하는 전국적인 규모의 엔터테인먼트 공연 및 서커스도 개최되어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2. 3. 재개발 시도와 좌절
1989년 8월, 시는 강변 호텔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아머리를 회의장으로 개조하고 인근에 125~150개 객실 규모의 호텔을 짓는 방안을 검토했다.[5] 시보이건 개발 공사가 의뢰한 연구에서는 이 호텔 프로젝트를 위해 약 300만달러의 시 보조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2005년에는 시보이건 개발 공사가 1700만달러 규모의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 우주 & 과학 센터 건립을 위해 아머리 인수를 추진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의 엔터테인먼트 및 관광 기회를 확대하고 위스콘신의 항공 우주 기술 분야 경제적 입지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계획에는 대형 극장, 천문관, 미션 컨트롤 센터, 교실, 실험실, 식당, 소매점, NASA 교육자 자료 센터, 로켓 학교 프로그램 본부 등이 포함되었다.[6] 그러나 2006년, 시 관계자들은 높은 건물 운영 비용을 이유로 아머리 폐쇄 계획을 발표했다.[7]
건물 보존을 위해 2009년 시보이건 아머리 재단이 설립되었고[10], 2013년 시의 해체 계획이 알려지자 501(c) 비영리 단체로 정식 법인화되었다. 한편, 2010년 시보이건 시는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 운영을 위해 그레이트 레이크스 항공 우주 과학 교육 센터(GLASEC)와 5년 임대 계약을 승인했고,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은 2011년 일반에 공개되었다.[8] 그러나 GLASEC는 2013년까지만 건물을 사용했으며, 스페이스포트 시보이건은 시보이건 강 건너편 사우스 피어 지구의 다른 건물로 이전했다.[9]
2014년 1월, 시는 아머리 재건을 위한 개발업체의 제안을 공식적으로 요청했으며, 제안 마감 시한은 같은 해 10월이었다.[11] 아머리 재단은 시와 협력하여 보조금, 기부금, 자원봉사자를 통해 건물을 복원하겠다는 첫 제안을 제출했다.[12] 하지만 2014년 12월, JD 부동산 투자 파트너스가 아머리 부지에 다세대 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건물을 철거하는 제안을 제출하면서 해체 가능성이 커졌다.[13] 이 회사는 건물이 "기능적으로 쓸모없고" 다른 용도로 개조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주장했다. 같은 달 말, 시는 아머리와 주변 부지 일부를 1USD에 시보이건 항해 교육 협회(SEAS)에 매각할 계획을 발표했다.[14] SEAS는 2015년 6월까지 아머리를 철거하고 2016년 4월까지 새 본부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2015년 1월, 시의 역사 보존 및 주택 재활 위원회는 아머리의 보존 가치를 결정하기 위해 재정 위원회와 공동 회의를 열고 SEAS로의 매각을 보류시켰다.[15] 위원회는 투표 결과(찬성 4, 반대 3) 아머리를 보존 가치가 있는 건물로 지정하고, 대체 보존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90일간 철거 허가를 보류했다.[16] 만약 이 기간 내에 실행 가능한 대안이 나오지 않으면 철거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2015년 3월 23일, SEAS는 아머리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다른 부지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17]
시는 2017년 9월에 아머리 부지 재개발 제안을 다시 요청했고[18], 2018년 2월에는 부지 재개발 제안 4개와 건물 재사용 제안 2개를 포함한 총 6개의 제안이 공개되었다.[19]

최종적으로 2020년 4월, 시보이건시,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협회 및 박물관,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연구 센터는 위스콘신 주 역사 보존 담당관과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이 각서는 아머리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물품을 보존하고, 건물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관련 조사를 완료하는 조건으로 철거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20] 같은 해 7월 13일, 시보이건 시장 마이크 반더스틴은 아머리 철거를 공식 발표했으며, 철거 작업은 그 주에 시작되어 11월까지 진행되었다.[21]
3. 철거
(내용 없음)
3. 1. 보존 노력과 논쟁
2009년, 건물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보이건 아머리 재단이 설립되었다.[10] 이후 2013년, 시 당국이 건물 해체 계획을 공개하자 재단은 501(c)(3) 비영리 단체로 정식 법인화되었다.2014년 1월, 시보이건시는 아머리를 재사용할 개발업체를 찾기 위해 공식적으로 제안 요청(RFP)을 공고했다. 제안서 제출 마감 시한은 2014년 10월이었다.[11] 가장 먼저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아머리 재단으로, 재단은 시와의 협력을 통해 보조금, 기부금, 자원봉사자를 확보하여 건물을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12]
그러나 2014년 12월, JD 부동산 투자 파트너스가 아머리 부지에 다세대 주택을 건설하는 개발 계획을 시에 제출하면서 아머리가 철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13] 이 회사는 해당 건물이 "기능적으로 쓸모없고" 다른 용도로 개조하기에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며 주택 개발을 위해 아머리를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달 말, 시는 다른 계획을 발표했는데, 아머리 건물과 주변 부지의 동쪽 부분을 1USD에 시보이건 항해 교육 협회(SEAS)에 매각한다는 내용이었다.[14] SEAS는 2015년 6월까지 아머리를 철거하고, 2016년 4월까지 해당 부지에 새로운 본부 건물을 착공할 예정이었다. 이 센터는 항해 선박의 정박 및 유지보수, SEAS 행정 업무,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계획이었다.
2015년 1월, 시의 역사 보존 및 주택 재활 위원회는 아머리의 역사적 가치를 평가하고 보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시 재정 위원회와 공동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를 통해 SEAS에 대한 부지 매각 계획이 보류되었다.[15] 위원회는 투표 결과 찬성 4표, 반대 3표로 아머리를 보존 가치가 있는 건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건물 철거 허가는 90일간 보류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아머리를 보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기회가 주어졌다.[16] 만약 이 기간 내에 실행 가능한 대안이 제시되지 않으면 철거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2015년 3월 23일, SEAS는 아머리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대신 시보이건 강을 따라 서쪽으로 몇 블록 떨어진 곳에 위치한 구 군사 유산 박물관 부지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17]
이후 2017년 9월, 시보이건시는 아머리 부지 재개발을 위한 제안 요청을 다시 공고했다.[18] 2018년 2월에는 총 6개의 제안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는데, 이 중 4개는 부지 재개발에 관한 것이었고, 2개는 기존 아머리 건물을 재사용하는 방안이었다.[19]
시간이 흘러 2020년 4월, 시보이건시,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협회 및 박물관,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연구 센터는 위스콘신 주 역사 보존 담당관과 양해 각서(MOA)를 체결했다. 이 각서는 아머리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물품들을 회수하고, 건물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국립공원관리청 및 위스콘신 역사 협회 기준에 따라 건축 및 역사 자원 조사를 완료하는 등의 완화 조치를 이행하는 조건으로 철거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20]
마침내 2020년 7월 13일, 시보이건 시장 마이크 반더스틴은 아머리 건물이 철거될 것이며, 해당 주부터 철거 작업이 시작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21] 같은 해 11월에는 건물의 철거가 거의 완료되었다.
3. 2. 철거 결정과 그 이후
2009년 시보이건 아머리 재단이 건물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고[10], 2013년에는 해체 계획이 공개된 후 501(c) 비영리 단체로 법인화되었다.2014년 1월, 시보이건시는 아머리를 재건할 개발업체로부터 정식으로 제안을 요청했다. 아머리에 대한 제안은 2014년 10월까지 제출해야 했다.[11] 공개된 첫 번째 제안은 아머리 재단에서 나왔으며, 재단은 건물 복원을 돕기 위해 시와 협력하여 보조금, 기부금, 자원 봉사자를 구한다고 밝혔다.[12]
2014년 12월, 개발 계획이 공개된 후 시보이건 아머리가 해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발표가 나왔다. JD 부동산 투자 파트너스는 아머리 부지를 다세대 주택으로 바꾸는 제안을 시에 제출했다.[13] 이 회사는 주택 개발을 위해 아머리를 해체해야 한다고 확인하며, 해당 건물이 "기능적으로 쓸모없다"라고 밝히고 다른 용도로 개조하는 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달 말, 시는 아머리와 주변 부지의 동쪽 부분을 1USD에 시보이건 항해 교육 협회(SEAS)에 매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4] SEAS는 2015년 6월까지 아머리를 철거하고 2016년 4월까지 해당 부지에 본부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이 센터는 항해 선박을 수용하고 유지 관리하며, SEAS 행정 운영을 수행하고,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계획이었다.
2015년 1월, 시의 역사 보존 및 주택 재활 위원회는 아머리가 보존해야 할 만큼 충분한 가치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시의 재정 위원회와 공동 회의를 열고, SEAS에 대한 보류 중인 판매를 중단시켰다.[15] 회의에서 위원회는 아머리를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물로 지정하는 데 찬성 4표, 반대 3표로 결정했다. 그 결과, 건물에 대한 모든 철거 허가를 90일 동안 보류하여 대체 보존 시도를 탐색할 시간을 부여했다.[16] 이 기간 동안 실행 가능한 대체 제안이 나오지 않으면, 건물의 철거를 막을 수 없게 되는 상황이었다.
2015년 3월 23일, 시보이건 항해 교육 협회는 아머리 철거 계획을 폐기하고[17] 대신 시보이건 강을 따라 서쪽으로 몇 블록 떨어진 구 군사 유산 박물관을 매입한다고 발표했다.
2017년 9월, 시보이건시는 아머리 부지 재개발에 대한 제안을 다시 요청했다.[18]
2018년 2월, 아머리 부지 재개발에 대한 6개의 제안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4개의 제안은 아머리 부지를 재개발하는 것이었고, 2개의 제안은 아머리 건물을 재사용하는 것이었다.[19]
2020년 4월, 시보이건시,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협회 및 박물관, 시보이건 카운티 역사 연구 센터는 아머리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물품을 구출하고, 아머리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국립 공원 서비스 및 위스콘신 역사 협회 표준에 따라 건축 및 역사적 자원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는 등 완화 계획을 기반으로 철거를 허용하기 위해 위스콘신 주 역사 보존 담당관과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20]
2020년 7월 13일, 시보이건 시장 마이크 반더스틴은 아머리가 철거될 것이며, 그 주에 작업이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1] 건물 철거는 2020년 11월경 거의 완료되었다.
4. 주요 행사
이 건물에서는 NBA 프로 농구 경기부터 지역 고등학교 및 대학 농구 경기 등 다양한 스포츠 행사가 열렸다. 또한, 지역 사회를 위한 축제, 박람회, 모임뿐만 아니라 유명 연예인의 공연과 서커스 등 전국적인 규모의 엔터테인먼트 행사도 개최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시보이건 시민들에게 중요한 장소로 이용되었다.
4. 1. 스포츠 경기
이 건물은 1942년부터 1951년까지 NBA의 시보이건 레드스킨스의 홈 경기장이었다. 또한 건물이 문을 연 1900년대 초반부터 2006년까지 센트럴/사우스 고등학교와 시보이건 노스 고등학교 간의 지역 농구 라이벌 경기가 열리는 장소였다. 2006년에는 두 학교 모두 약 3,000석 규모의 대형 교내 체육관을 개관하면서 이곳에서의 경기는 중단되었다.이 외에도 레이크랜드 대학교 농구 경기, 올스타 레슬링, 골든 글러브 권투 경기, 할렘 글로브트로터스의 쇼 등이 이곳에서 열렸다.
4. 2. 기타 행사
이 건물은 1942년부터 1951년까지 NBA의 시보이건 레드스킨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건물이 처음 문을 연 1900년대 초반부터 2006년까지 센트럴/사우스 고등학교와 노스 고등학교 간의 지역 농구 라이벌 경기가 열리는 주요 장소였다. 2006년에 두 학교 모두 약 3,000석 규모의 자체 체육관을 개관하면서 이 건물의 해당 용도로서의 사용은 줄어들었다.이 외에도 여러 세대의 시보이건 시민들에게 영향을 준 다양한 행사가 이곳에서 열렸다. 레이크랜드 대학교 농구 경기, 보이 스카우트의 스카우트-오-라마(Scout-O-Rama), 학교를 위한 로켓 행사, 흐몽 축제, 나무 축제, 시장 국제 축제, 채용 박람회, 군사 모임과 같은 지역 행사가 개최되었다.
또한, 올스타 레슬링, 골든 글러브 권투 경기, 할렘 글로브트로터스 농구 쇼와 같은 스포츠 행사뿐만 아니라, 행크 윌리엄스 주니어, 닥터 후크 앤 더 메디신 쇼, 조니 카슨의 공연 및 서커스와 같은 전국적인 규모의 엔터테인먼트 행사도 이곳에서 열렸다.
참조
[1]
웹사이트
516 Broughton Drive
http://www.wisconsin[...]
2015-03-23
[2]
뉴스
Sheboygan Armory Project Is Assured
1940-05-27
[3]
웹사이트
Sheboygan Municipal Auditorium and Armory
https://www.wisconsi[...]
Wisconsin Historical Society
2019-02-13
[4]
뉴스
Found document details Armory's origins
http://www.sheboygan[...]
The Sheboygan Press
2015-03-23
[5]
뉴스
Waterfront development brings Sheboygan new life
The Milwaukee Sentinel
1989-08-28
[6]
뉴스
'Spaceport' proposed for armory
The Sheboygan Press
2005-08-18
[7]
뉴스
City may shut down Armory
The Sheboygan Press
2006-09-20
[8]
뉴스
Spaceport Sheboygan now open to the public
The Sheboygan Press
2011-06-17
[9]
웹사이트
Spaceport Sheboygan is Moving
http://whbl.com/news[...]
[10]
웹사이트
SAVE
http://thearmoryfoun[...]
2015-01-23
[11]
웹사이트
City Seeks Proposals for the Armory
http://whbl.com/news[...]
[12]
뉴스
Efforts Underway to Save the Armory
http://whbl.com/news[...]
WHBL 1330 AM
2015-01-23
[13]
웹사이트
Housing project proposed for Sheboygan Armory site
http://www.sheboygan[...]
2015-01-23
[14]
웹사이트
City of Sheboygan reaches deal on Armory
http://www.sheboygan[...]
The Sheboygan Press
2015-01-23
[15]
웹사이트
New try to preserve Armory building in Sheboygan
http://www.bizjourna[...]
2015-01-23
[16]
뉴스
Commission gives Armory 90-day reprieve
http://www.sheboygan[...]
The Sheboygan Press
2015-01-23
[17]
뉴스
SEAS finds new HQ, backs out of armory deal
http://www.sheboygan[...]
The Sheboygan Press
2015-03-23
[18]
뉴스
Request for Proposals: Development of the Sheboygan Municipal Armory
https://www.sheboyga[...]
City of Sheboygan
2020-11-28
[19]
뉴스
Sheboygan Municipal Armory Redevelopment
http://www.sheboygan[...]
City of Sheboygan
2020-11-28
[20]
뉴스
Demolition to Begin on the Sheboygan Municipal Auditorium and Armory
https://www.sheboyga[...]
City of Sheboygan
2020-11-28
[21]
뉴스
Demolition to Begin on the Sheboygan Municipal Auditorium and Armory
https://www.sheboyga[...]
City of Sheboygan
2020-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